Etc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 XaaS(서비스형 시스템) : IaaS/PaaS/SaaS

Dddu 2024. 3. 25. 00:11

 

XaaS란?

 

XaaS = Everything(Anything) as a Service의 약자로, 서비스형 시스템을 의미.

사용자는 온라인 상에서 각종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혹은 데이터 및 개발 프로그램 등을 대여 형태로 이용할 수 있음.

 

XaaS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지만 대표적인 세가지는 IaaS/PaaS/SaaS로 존재.

 


 

 

초록색 = 사용자가 직접 관리

빨간색 = 제공받는 부분


1. IaaS ( Infrastructrue as a Service)

인터넷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버 및 스토리지 관련 응용 프로그램 제공

 

장점 

  • 개발 및 테스트 환경 구축/제거 빠르고 유연함
  • 개발 환경에서 구축해야 할 인프라만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확장/축소 , 개발 완료되면 사용 중단하고 사용량에 대한 비용만 지불 , 유지관리 비용 들지 않아 경제적

단점

  • 제공업체의 보안 문제 가능성
  • 서비스 신뢰성

ex ) AWS의 EC2, Microsoft Azure, Google Cloud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공급업체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인터넷을 통해 이용 가능한 개발 관련 응용 프로그램 제공

 

IaaS는 개발,실행,테스트 등 플랫폼 구축해야 하지만,PaaS를 사용하면 개발자들은 인프라 영역 x, 오직 개발에만 집중 o

 

장점

  • 비즈니스가 변함에 따라 리소스를 쉽게 확장 / 축소하여 비용 절감 가능
  • 이미 설치된 미들웨어 위에 코드만 실행하면 돼서 관리 편함

 

단점

  • 정보 유출 우려 있음

ex) AWS Elastic Beanstalk, Heroku , Openshift , google App Engine

 

(heroku...?생애 첨 들어봐서 검색해봤더니 ja va, Node.js, Python등 여러 언어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Paas라고 함 )

3. SaaS ( Software as a Service )

인터넷을 통해 이용 가능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제공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사용자가 관리 필요 없고, 위에 첨부한 그림에 보이듯이 모든 부분 관리 받음
-> 사용자는 별도의 설치 부담 없이 브라우저에서 SW 사용할 수 있음.

제일 익숙한 형태. 

 

장점

  • 사용자는 웹만 접속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쉬움
  • 제공자가 관리나 업데이트를 기본적으로 다 해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할 필요가 없음

단점

  • 특성상 반드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음

ex) Dropbox, 구글드라이브,네이버 클라우드, 유튜브, sns, 이메일

 

사용자 설정 많은 순서 = IaaS>PaaS>Sa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