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운영중인 서비스에 이슈를 JIRA로 관리하도록 노력하고있다.
이 글을 보기전에는 너무 단순하게 사용을 했던거같다.
더 똑똑하게 사용하기위해서 서칭을 하였다.
애자일이란?
Agile 이란 단어자체가 '기민한', '민첩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단어 의미에서 유추할 수 있듯 애자일은 시장 변화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는 개발 방법론
스크럼이란?
스크럼은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방법을 말하며, 비즈니스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스프린트'라고 불리는 작업 단위를 사용하여 세분화된 항목에 초점을 맞추고 평균 2주 정도의 기간을 목표로 설정한다.
현재 운영하고있는서비스는 한달기간을 목표로 설정하고있다.
스크럼 보드란?
스크럼 보드는 스프린트 백로그 항목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젝트 관리 툴입니다.
현재 스프린트에서 완료해야 하는 모든 항목을 보여준다. 해야되는 일, 현재 진행중인 일에 대해서 시각화가 돼서,
일정에 대해서 상기시켜주고 관리하는데 용이한거같다.
1. 백로그 만들기
프로젝트 백로그를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크게 프로젝트에 대한 요구사항과 그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작업들을 구분하여 백로그를 작성합니다.
백로그를 만들 때, Issue Type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Issue Type은 아래 3가지로 구분됩니다.
- Epic: 완료하기까지 긴 시간이 필요하거나 몇 번의 스프린트가 요구되는 큰 업무 덩어리입니다. Epic은 여러 개의 Story 혹은 Task로 쪼개질 수 있습니다.
- Story: 유저 스토리로 불리며, 엔드 유저 관점에서 쓰인 간단한 요구 사항입니다. 하나의 심플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으며, 연관된 Story들이 모여 하나의 에픽을 형성합니다.
- Task: 스토리를 완료하기 위해 개발자가 작업하는 단위입니다.
ex)
- Epic: Data Lake House 플랫폼인 Databricks를 도입한다.
- Story:
- 클라우드 인프라 및 플랫폼 확보
- 플랫폼 보안 모델 개선
- Raw Data Pipeline 개발
- 플랫폼 운영 및 개발 가이드 작성
이 중 'Raw Data Pipeline'의 Story를 기준으로 Task를 작성하면 아래처럼 작성할 수 있음
- Task:
- Kafka to Delta Lake Consumer 설계
- RDB to Delta Lake 설계
- NAS to Delta Lake 설계
- Delta File Optimizer 조사
- Delta Vacuum 조사
2. 스프린트 계획 및 시작
백로그를 만든 후에는 첫 스프린트에서 진행할 작업 항목을 지정하도록 합니다.
3. 로드맵 활용하기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큰 그림으로 확인하고 종속성을 추적하며 우선순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특히 이해 관계자분들에게 업무 진행 내역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저희 JIRA에서는 상단 메뉴에 'Plans'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선택하여 Plan 생성을 진행하면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JIRA Project 기반으로 RoadMap을 손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애자일 보고서 활용 및 반복
JIRA에서는 애자일 보고서를 위한 다양한 차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정리 (0) | 2024.08.18 |
---|---|
Refactoring이란 (0) | 2024.08.11 |
Git 기본 (0) | 2024.08.04 |
ORA-00933: SQL 명령어가 올바르게 종료되지 않았습니다 (0) | 2024.07.29 |
CVS Pre-commit check failed 오류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