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

대기열 프로세스(2) - Redis

by Dddu 2024. 10. 27.

내 최애 찰리푸스 티켓팅을 팽씨와 실패해서 알아보게 된 대기열 프로세스..🥹 그 중 레디스를 알아보자.

레디스(redis)란??

레디스(Redis)는 빠른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로, 주로 키-값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며, 캐시, 대기열, 메시지 브로커 등으로 사용된다. 높은 성능과 빠른 데이터 처리가 특징이다.

레디스는 대기열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1. 빠른 데이터 처리: 레디스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로, 매우 빠른 읽기와 쓰기 속도를 제공한다. 이는 대기열의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2. 리스트 데이터 구조: 레디스의 리스트 구조를 사용하면 작업을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늠. 작업 추가는 LPUSH, 작업 처리는 RPOP을 사용.

3. 멀티 프로세스 지원: 여러 소비자가 동시에 대기열에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 부하 분산과 성능 향상이 가능.

4. Pub/Sub 기능: 레디스의 퍼블리시/서브스크라이브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작업이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이렇게 레디스는 대기열 프로세스의 구현과 운영에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cors 설정시 주의점  (0) 2024.12.08
Spring Local Cache  (1) 2024.11.03
Spring - TransactionalEventListener  (0) 2024.10.20
java 데몬 로컬에서 실행하기  (0) 2024.10.13
JWT(Json Web Token)란?  (0) 2024.10.13